소프트웨어 개발사업의 성패는 적절한 사업기간 산정에 달려 있습니다. 너무 짧은 기간은 품질 저하를, 너무 긴 기간은 예산 낭비를 초래하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에서 발간한 SW 개발사업 적정 사업기간 산정 가이드를 바탕으로, 공공기관과 민간 기업 모두가 적용할 수 있는 실전 전략을 소개합니다.
목차
Toggle왜 적정 사업기간 산정이 중요한가?
과거에는 예산 집행 기간에 맞춰 사업기간을 임의로 결정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소프트웨어 진흥법」 제45조에 따라 합리적인 기간 산정이 의무화되었습니다. 적정 기간을 확보하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품질 저하: 테스트와 검증 시간 부족으로 시스템 결함 증가
- 예산 초과: 무리한 일정으로 인한 추가 인력 투입 필요
- 유지보수 비용 증가: 미흡한 개발로 인한 사후 보완 작업 확대
2020년 12월 개정된 법령에 따르면, 모든 SW 개발사업은 기능점수(FP) 분석, 사업 기초 자료, 유사사업 비교 등을 통해 기간을 산정해야 합니다.
적정 사업기간 산정 4단계 프로세스
1. 기능점수(FP) 기반 개발기간 계산
기능점수 분석은 소프트웨어 규모를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국제 표준 방법입니다. 다음 공식을 적용합니다:
전체 개발기간 = (사업규모(FP) ÷ 1인 생산성(FP/월)) ÷ 월 평균 투입 인력 수
예시: 1,760FP 규모의 프로젝트에서 1인 생산성이 22FP/월이고, 월평균 12명이 투입된다면,
(1,760 ÷ 22) ÷ 12 ≈ 6.7개월이 기본 개발기간입니다.
📊 사업규모별 생산성 기준
| FP 규모 | 1인 생산성 (FP/월) |
|—————|——————-|
| ~1,000 FP | 19 |
| 1,000~2,000 FP | 22 |
| 2,000~3,000 FP | 24 |
| 3,000 FP~ | 22 |
자세한 FP 산정 방법은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산정 가이드를 참고하세요.
2. 사업 기초 자료 검토
- 요구사항 명세서: 기능적/비기능적 요건의 복잡도 분석
- 예산 계획: 단년도 vs. 다년도 계약 여부 확인
- 발주 환경: 내부 인프라 구축 현황(예: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필요성)
3. 유사사업 사례 비교
조달청(Nara)이나 SPRi(소프트웨어사업정보저장소)에서 유사 프로젝트 데이터를 조회합니다. 예를 들어, 2,000FP 규모의 전자정부 시스템이 평균 9개월 소요되었다면, 이를 참고해 조정합니다.
4. 특이사항 반영
다음 요소는 추가 기간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외부 연계: 타 기관과의 API 통합 (+1~2개월)
- 신기술 도입: AI/블록체인 등 미검증 기술 적용 시 리스크 대비 기간 확보
- 하드웨어 구매: 서버 도입 및 설정 기간 포함
실무 팁: 과업심의위원회 운영 가이드
1억 원 이상의 프로젝트는 5~10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과업심의위원회를 통해 기간을 확정해야 합니다. 위원회는 다음 역할을 수행합니다:
- 발주자가 제출한 FP 산정서 검증
- 사전 준비 자료(예: RFP, 유사계약서)의 타당성 평가
- 위원별 산정 결과 편차가 15% 이내로 조정
💡 주의사항: 1억 원 미만 프로젝트도 종합산정서를 RFP에 반드시 첨부해야 합니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시 제2020-12호).
자주 묻는 질문(FAQ)
Q. 커스터마이징 프로젝트도 적용 대상인가요?
A. 순수 커스터마이징 사업은 제외되지만, 개발 작업이 포함된 경우 FP 분석이 필요합니다.
Q. 유지보수 프로젝트의 개발 기간은?
A. 소규모 기능 변경은 유지보수 기간에 포함되며, 별도 산정하지 않습니다.
Q. FP 산정이 불가능한 5천만 원 미만 프로젝트는?
A. 사업기초자료와 유사사례만으로 기간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합리적인 기간 산정이 프로젝트의 절반이다
적정 사업기간은 단순히 일정을 짜는 것이 아닌, 리스크 관리의 시작입니다. NIPA의 SW발주기술지원센터(043-931-5499)에서는 FP 분석과 위원회 구성에 대한 무료 컨설팅을 제공하니, 복잡한 프로젝트일수록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유리합니다.
✍️ 체크리스트: 다음 프로젝트 시작 전 확인할 사항
- FP 산정을 위한 요구사항 정의서 완료 여부
- 유사사업 데이터베이스(조달청, SPRi) 조회 기록
- 특이사항(신기술, 외부 연계 등) 반영 계획
합리적인 기간 산정은 품질과 비용,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한층 더 성공적인 프로젝트를 완수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