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MyBatis와 JPA의 차이, JPA를 선택한 이유는?

MyBatis와 JPA의 차이, JPA를 선택한 이유는?

JPA vs Mybatis

아이디어가 있나요?

Hitek 언제나 당신과 동행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Java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MyBatisJPA라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접근 기술을 마주하게 됩니다. 둘 다 장단점이 뚜렷하지만, 최근 들어 JPA가 더 많이 선택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 글에서는 MyBatis와 JPA의 핵심 차이점을 비교하고, 왜 많은 개발자들이 JPA를 선호하는지 그 이유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MyBatis vs. JPA: 기본 개념 비교

MyBatis: SQL 중심의 데이터 매퍼

MyBatis는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개발자가 SQL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어 복잡한 쿼리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장점

  • 세밀한 SQL 제어 (고성능 쿼리 작성 가능)
  • 레거시 시스템과의 호환성 (기존 SQL 활용 용이)
  • 학습 곡선이 낮음 (SQL을 알면 쉽게 사용 가능)

단점

  • 반복적인 CRUD 코드 작성 필요
  • DB 변경 시 수정할 SQL이 많음
  • 객체지향 설계와 괴리감 존재

JPA (Java Persistence API): 객체 중심의 ORM

JPA는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하는 기술로, Hibernate가 가장 대표적인 구현체입니다.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Java 객체를 다루듯이 DB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생산성 향상 (반복적인 CRUD 코드 최소화)
  • DB 독립적 (H2 → MySQL 변경도 쉽게 가능)
  • 객체지향 설계에 최적화 (상속, 연관관계 매핑 지원)

단점

  • 복잡한 쿼리 최적화가 어려울 수 있음
  • 학습 곡선이 높음 (영속성 컨텍스트, 지연 로딩 등 개념 필요)
비교 항목 MyBatis JPA
쿼리 제어 직접 SQL 작성 자동 생성 (JPQL, Criteria API)
생산성 낮음 (수동 쿼리) 높음 (자동화)
DB 변경 유연성 낮음 (SQL 수정 필요) 높음 (Dialect로 대응)
객체지향 설계 제한적 우수함 (연관관계, 상속 지원)
성능 최적화 직접 제어 가능 추가 설정 필요 (Fetch 전략 등)

2. 왜 JPA를 선택하는가?

(1) 생산성: 반복 작업의 감소

MyBatis는 매번 SQL Mapper XML 또는 어노테이션으로 쿼리를 작성해야 합니다. 반면 JPA는 save(), findById() 같은 기본 메서드를 제공해 반복적인 CRUD 작업을 줄여줍니다.

// MyBatis: 매번 SQL 작성 필요  
@Select("SELECT * FROM user WHERE id = #{id}")  
User findUserById(Long id);  

// JPA: 기본 메서드 제공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2) 객체지향 설계의 자연스러운 적용

RDBMS는 테이블 중심, Java는 객체 중심이라 패러다임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MyBatis는 이를 해결하기 어렵지만, JPA는 연관관계 매핑 (@OneToMany, @ManyToOne)을 통해 객체 간 관계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DB 벤더 독립성

MyBatis는 특정 DB에 종속적인 SQL을 작성해야 합니다. 반면 JPA는 Dialect를 통해 DB마다 다른 SQL을 자동 생성하므로, H2 → MySQL → Oracle로 변경해도 코드 수정이 거의 필요 없습니다.

(4) 유지보수 용이성

테이블 컬럼이 변경될 때 MyBatis는 모든 관련 SQL을 수정해야 하지만, JPA는 엔티티 클래스만 변경하면 됩니다.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MyBatis가 더 나은 경우는?

JPA가 장점이 많지만, MyBatis가 더 적합한 상황도 있습니다.

  • 복잡한 통계 쿼리 (대량 조인, 서브쿼리, 네이티브 SQL 필요 시)
  •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 (기존 SQL을 그대로 활용해야 할 때)
  • 성능 최적화가 매우 중요한 경우 (미세한 튜닝이 필요할 때)

이런 경우 JPA + QueryDSL 또는 JPA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MyBatis가 더 직관적일 수 있습니다.


4. 결론: JPA가 대세인 이유

JPA는 객체지향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초기 학습 비용이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코드 품질과 개발 효율성에서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반면 MyBatis는 SQL을 직접 제어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여전히 유용합니다.

“JPA를 배우는 건 결국 현대 Java 백엔드 개발의 필수 스킬이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에는 어떤 기술이 더 적합할까요?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보세요!

🔗 더 알아보기

이 글이 MyBatis와 JPA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Picture of Khoi Tran

Khoi Tran

Khoi Tran은 하이텍 소프트웨어의 소유자입니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인 솔루션을 기여하는 것에 열정적입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6년간 근무한 기술 지식과 (2018년부터 기술 회사를 운영하며) 비즈니스 감각을 갖추고 있어, 나는 다행히도 이 디지털 세계에서 더 많은 장점을 가진 현대적인 기업가 세대의 일부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타 기사
naver ai

네이버 AI: 한국을 선도하는 인공지능 기술의 현재와 미래

네이버는 한국을 대표하는 테크 기업으로, AI 분야에서도 혁신적인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검색, 콘텐츠 추천, 음성 인식부터 생성형 AI까지, 네이버의 인공지능 기술은 우리의 일상 속 깊숙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네이버 AI의 핵심 기술, 최신 동향, 그리고 미래 전략을 살펴보겠습니다. 네이버 AI의 핵심 기술과 서비스 네이버는 AI 연구 개발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특히 하이퍼클로바(HyperCLOVA)와

세부정보 →
microsoft ai

마이크로소프트 AI: 혁신적인 인공지능 기술의 최전선

인공지능(AI)은 더 이상 미래의 기술이 아닙니다. 이미 우리 삶 깊숙이 자리 잡으며 비즈니스, 창의성, 일상의 편의성을 바꾸고 있습니다. 이 변화의 중심에 마이크로소프트 AI가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AI 기술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창의적인 작업을 지원하며, 더 나은 의사 결정을 돕는 도구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AI 전략, 주요 제품, 그리고 한국 시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세부정보 →
software development company

2025년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순위 TOP9: 한국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들

소프트웨어 산업은 급격히 진화하며 우리의 일상과 비즈니스 방식을 혁신하고 있습니다. 2025년을 맞아 어떤 기업들이 가장 혁신적이고 신뢰할 만한 성과를 내고 있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한국 시장에서 주목받는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 TOP9을 소개합니다. 각 기업의 기술력, 시장 영향력, 그리고 미래 전망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보겠습니다. 1. 삼성SDS (Samsung SDS) 삼성SDS는 AI,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분야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세부정보 →
Snyk

Snyk로 코드베이스 보안 강화하기: 개발자를 위한 실용 가이드

보안 취약점은 언제든지 프로젝트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특히 빠른 개발 사이클 속에서 보안 검사를 소홀히 하기 쉽죠. Snyk은 개발 단계에서부터 보안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이 가이드에서는 Snyk를 활용해 코드베이스의 보안을 강화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합니다. 왜 Snyk인가? 개발자 친화적인 보안 솔루션 보안 툴은 종종 복잡하고 개발 워크플로우를 방해합니다. 하지만 Snyk는 개발자

세부정보 →
What is Swift

Swift(스위프트)란? 모던 프로그래밍의 혁명을 이끄는 언어

애플이 개발한 Swift(스위프트)는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iOS, macOS, watchOS, tvOS 앱 개발의 핵심 도구로 자리 잡았습니다. Python처럼 읽기 쉬우면서도 C++만큼 강력한 성능을 자랑하는 Swift는 개발자들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Swift의 핵심 특징, 장점, 실제 활용 사례를 알아보고, 왜 이 언어가 모바일 및 애플 생태계에서 필수적인지 설명하겠습니다. 1. Swift의 탄생과 목적 Swift는 2014년

세부정보 →
Frontend vs Backend

프론트엔드 vs 백엔드 차이, 무엇을 시작할지 고민이라면?

웹 개발을 시작하려는 사람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는 질문 중 하나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입니다. 두 분야는 웹 개발의 핵심이지만, 하는 일과 필요한 기술 스택이 완전히 다릅니다. 이 글에서는 프론트엔드와 백엔드의 주요 차이점, 각 분야의 장단점, 그리고 어떤 선택이 나에게 맞는지 결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개발자 커리어의 첫 걸음을 내딛기 전, 이 가이드를 참고해

세부정보 →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