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MyBatis와 JPA의 차이, JPA를 선택한 이유는?

MyBatis와 JPA의 차이, JPA를 선택한 이유는?

JPA vs Mybatis

아이디어가 있나요?

Hitek 언제나 당신과 동행할 준비가 되어있습니다.​

Java 백엔드 개발을 하다 보면 MyBatisJPA라는 두 가지 주요 데이터 접근 기술을 마주하게 됩니다. 둘 다 장단점이 뚜렷하지만, 최근 들어 JPA가 더 많이 선택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왜 그럴까요? 이 글에서는 MyBatis와 JPA의 핵심 차이점을 비교하고, 왜 많은 개발자들이 JPA를 선호하는지 그 이유를 분석해보겠습니다.


1. MyBatis vs. JPA: 기본 개념 비교

MyBatis: SQL 중심의 데이터 매퍼

MyBatis는 SQL 쿼리를 직접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개발자가 SQL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어 복잡한 쿼리 최적화가 가능합니다.

장점

  • 세밀한 SQL 제어 (고성능 쿼리 작성 가능)
  • 레거시 시스템과의 호환성 (기존 SQL 활용 용이)
  • 학습 곡선이 낮음 (SQL을 알면 쉽게 사용 가능)

단점

  • 반복적인 CRUD 코드 작성 필요
  • DB 변경 시 수정할 SQL이 많음
  • 객체지향 설계와 괴리감 존재

JPA (Java Persistence API): 객체 중심의 ORM

JPA는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매핑하는 기술로, Hibernate가 가장 대표적인 구현체입니다. SQL을 직접 작성하지 않고, Java 객체를 다루듯이 DB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생산성 향상 (반복적인 CRUD 코드 최소화)
  • DB 독립적 (H2 → MySQL 변경도 쉽게 가능)
  • 객체지향 설계에 최적화 (상속, 연관관계 매핑 지원)

단점

  • 복잡한 쿼리 최적화가 어려울 수 있음
  • 학습 곡선이 높음 (영속성 컨텍스트, 지연 로딩 등 개념 필요)
비교 항목 MyBatis JPA
쿼리 제어 직접 SQL 작성 자동 생성 (JPQL, Criteria API)
생산성 낮음 (수동 쿼리) 높음 (자동화)
DB 변경 유연성 낮음 (SQL 수정 필요) 높음 (Dialect로 대응)
객체지향 설계 제한적 우수함 (연관관계, 상속 지원)
성능 최적화 직접 제어 가능 추가 설정 필요 (Fetch 전략 등)

2. 왜 JPA를 선택하는가?

(1) 생산성: 반복 작업의 감소

MyBatis는 매번 SQL Mapper XML 또는 어노테이션으로 쿼리를 작성해야 합니다. 반면 JPA는 save(), findById() 같은 기본 메서드를 제공해 반복적인 CRUD 작업을 줄여줍니다.

// MyBatis: 매번 SQL 작성 필요  
@Select("SELECT * FROM user WHERE id = #{id}")  
User findUserById(Long id);  

// JPA: 기본 메서드 제공  
User user = user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2) 객체지향 설계의 자연스러운 적용

RDBMS는 테이블 중심, Java는 객체 중심이라 패러다임 불일치가 발생합니다. MyBatis는 이를 해결하기 어렵지만, JPA는 연관관계 매핑 (@OneToMany, @ManyToOne)을 통해 객체 간 관계를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3) DB 벤더 독립성

MyBatis는 특정 DB에 종속적인 SQL을 작성해야 합니다. 반면 JPA는 Dialect를 통해 DB마다 다른 SQL을 자동 생성하므로, H2 → MySQL → Oracle로 변경해도 코드 수정이 거의 필요 없습니다.

(4) 유지보수 용이성

테이블 컬럼이 변경될 때 MyBatis는 모든 관련 SQL을 수정해야 하지만, JPA는 엔티티 클래스만 변경하면 됩니다.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3. MyBatis가 더 나은 경우는?

JPA가 장점이 많지만, MyBatis가 더 적합한 상황도 있습니다.

  • 복잡한 통계 쿼리 (대량 조인, 서브쿼리, 네이티브 SQL 필요 시)
  • 레거시 시스템 유지보수 (기존 SQL을 그대로 활용해야 할 때)
  • 성능 최적화가 매우 중요한 경우 (미세한 튜닝이 필요할 때)

이런 경우 JPA + QueryDSL 또는 JPA 네이티브 쿼리를 활용할 수도 있지만, MyBatis가 더 직관적일 수 있습니다.


4. 결론: JPA가 대세인 이유

JPA는 객체지향적인 개발을 가능하게 하고, 생산성과 유지보수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초기 학습 비용이 높지만, 장기적으로는 코드 품질과 개발 효율성에서 큰 이점을 제공합니다.

반면 MyBatis는 SQL을 직접 제어해야 하는 특수한 상황에서 여전히 유용합니다.

“JPA를 배우는 건 결국 현대 Java 백엔드 개발의 필수 스킬이다.”

여러분의 프로젝트에는 어떤 기술이 더 적합할까요? 댓글로 의견을 공유해보세요!

🔗 더 알아보기

이 글이 MyBatis와 JPA 선택에 도움이 되었다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Picture of Khoi Tran

Khoi Tran

Khoi Tran은 하이텍 소프트웨어의 소유자입니다.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술적인 솔루션을 기여하는 것에 열정적입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 6년간 근무한 기술 지식과 (2018년부터 기술 회사를 운영하며) 비즈니스 감각을 갖추고 있어, 나는 다행히도 이 디지털 세계에서 더 많은 장점을 가진 현대적인 기업가 세대의 일부로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타 기사
QVscribe vs Bard vs ChatGPT

QVscribe vs Bard vs ChatGPT: 어떤 AI 도우미가 요구사항 작성에 가장 적합할까?

요구사항 명세서 작성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단계 중 하나입니다. 명확하고 구조화된 요구사항은 프로젝트의 성공을 좌우하죠. 최근에는 AI 도구들이 이 작업을 지원하고 있는데, 그중에서도 QVscribe, Google Bard, ChatGPT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세 가지 AI 도우미 중 어떤 것이 요구사항 작성에 가장 적합할까요? 각 도구의 강점과 약점을 비교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떤 AI를 선택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QVscribe:

세부정보 →
Testim Sapienz Selenium

2025년 최고의 자동화 테스트 도구: Testim, Sapienz, Selenium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은 품질 보장이다. 빠른 릴리스 주기와 복잡한 애플리케이션 환경에서 자동화 테스트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2025년에도 여전히 Testim, Sapienz, Selenium은 업계를 선도하는 도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 세 가지 솔루션은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맞춰 최적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글에서는 각 도구의 특징, 장단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세부정보 →
app development company

2025 앱 개발 업체 순위 TOP10: 한국에서 주목할 만한 기업들

모바일 앱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25년에도 혁신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발 업체들이 경쟁을 펼치고 있습니다. 사용자 경험(UX)과 기술력, 창의성을 모두 갖춘 업체를 선택하는 것은 비즈니스 성공의 핵심 요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한국에서 가장 주목받는 앱 개발 업체 TOP10을 소개하고, 각 기업의 강점과 특장점을 분석해보겠습니다. 1. Kakao Enterprise 카카오의 자회사로,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고도화된 앱 개발로

세부정보 →
speak ai

스픽AI(Speak AI): AI 음성 인식 기술의 혁신

최근 AI 기술의 발전으로 음성 인식 및 생성 분야에서 혁신적인 변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 스픽AI(Speak AI)가 있습니다. 이 플랫폼은 고급 음성 인식, 실시간 번역, 자연스러운 음성 합성 기능을 제공하며, 개인과 기업 모두에게 강력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스픽AI의 주요 기능, 활용 사례, 그리고 왜 이 기술이 주목받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스픽AI란 무엇인가? 스픽AI는

세부정보 →
papa go ai

네이버 파파고: 한국 최고의 AI 번역기 활용 가이드

언어 장벽을 넘어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하는 네이버 파파고(Naver Papago)는 한국에서 가장 신뢰받는 AI 번역 서비스입니다. 정확한 번역, 빠른 처리 속도,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해외 여행, 비즈니스, 학습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파고의 주요 기능, 활용 팁, 그리고 경쟁 서비스 대비 장점을 알아보겠습니다. 네이버 파파고란? 네이버 파파고는 네이버가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세부정보 →
Visual Studio and VS Code

Visual Studio 및 VS Code로 소프트웨어 개발 효율 높이기

개발자라면 누구나 효율적인 도구를 찾는다. Visual Studio(VS)와 Visual Studio Code(VS Code)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강력한 개발 환경으로, 코드 작성부터 디버깅, 배포까지 모든 과정을 편리하게 지원한다. 이 두 도구를 어떻게 활용해야 개발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까? 이 글에서는 VS와 VS Code의 장점, 차이점, 그리고 실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팁을 소개한다. 개발 환경을 최적화하고 싶다면 계속 읽어보자. 1.

세부정보 →
Scroll to Top